잡동사니

물류 개념의 발전 과정

이사비 2007. 12. 14. 19:20
물류해설


물류 개념의 발전 과정
● 1960~70년대:물류관리(Physical Distribution Management)
※ 물류비 절감의 중요성 인식, 수송, 보관 등 기능별 물류관리에 초점
● 1980~90년대:로지스틱스관리(Logistics Management)
※ 전사적 물류 효율화를 위한 통합 물류관리에 초점
● 2000년 이후:공급체인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SCM)
※ 공급사슬 참여기업 간 조정(coordination)과 협업(collaboration)을 강조

공급체인관리(Supply Chain Management)란?

● 공급체인관리는 원재료 구매에서부터 최종고객까지의 전체 물류흐름을 계획하고 통제하는 통합적인 관리방법
이다. 제품의 공급과정에 관련된 모든 업체, 즉 원재료 공급업체, 제조업체, 물류센타, 유통업체, 서 비스 제공업체,
최종고객에 이르기까지 업무를 통합함으로써 경로전체의 효율성을 높이자는 목적에서 출발했다. 조 직 안팎을
망라해 물류와 관련된 모든 기능을 하나의 단위로 보고 물적 흐름과 정보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전체
흐름을 최적화하기 위한 기법으로 관리자는 하나의 단일 시스템처럼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SCM은 원재료 공급, 생산, 유통, 최종고객까지 모든 집단이 서로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경로관계를 원활하게
관리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공급체인 파트너 간에 효과적인 정보의 창출, 공유, 확산이 필수적이 다. 그래야만
경로상의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트너 간에 유기적이고 협력적인 관계를 구축함으로써
고객의 욕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SCM은 공급체인 파트너들 간에 정보를 공유함 으로써 수요
불확실성과 재고 보유를 줄이고, 유연하고 신속한 제품흐름을 구축한다는 것이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