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동사니

[포장이사]이사짐을 옮기고 정리했다고 다 된 일일까?

이사비 2014. 5. 16. 19:01

[포장이사]이사짐을 옮기고 정리했다고 다 된 일일까?


본격적인 이사철을 맞이하여, 포장이사 후 이삿짐관련으로 고민이 많을 시기입니다. 

이사후에 점검할 사항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해 봅니다. 

 

이사 후에 집을 관리하는데 좀더 세심히 신경을 써야 하지 않을까? 

이사하면서 벽지가 더러워지거나 가구에 흠집이 나기도 할 것이다.


이사 후에 집 관리를 위해 챙겨야 할 것들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본다.

 



Step 1.집안 안전 점검하기

현관 열쇠 ∥ 

철물점이나 마트에서 보조키나 전자 도어락을 구입해 바꿔 단다. 

드릴과 드라이버만 있으면 어렵지 않게 바꿔 달 수 있다.


현관 우유함 폐쇄하기 ∥ 

우유 투입구 방범 커버를 구입한다. 

피스 4개만 달아 주면 돼서 혼자서도 간단하게 달 수 있다. 

제품은 철물점이나 마트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다.


집 안 열쇠 ∥ 

방문마다 열쇠가 다 맞는지 점검하고, 없는 방문은 열쇠를 만들어 둔다.







Step 2. 가구 배치와 콘센트 위치 확인하기


가구 배치 및 수평 확인 ∥ 

가구의 배치가 제대로 되어 있는지 살핀다. 

가구가 한쪽으로 기울어짐 없이 수평이 잘 맞는지 확인한다. 

가구의 서랍이나 문이 잘 열리는지를 체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또 가구의 문을 열어 보고 실제 사용할 때 필요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는지 살핀다.


이삿짐 센터 가구 재배치 신청하기 ∥ 

가구의 배치가 마음에 들지 않을 때는 이사 후 1주일 이내로 이삿짐 센터에 전화해 문의한다.

이삿짐 센터 에서 재배치를 해야 할 의무는 없지만, 문의하면 무거운 가구를 재배치해 주는 경우가 많다.


에어컨 전용 콘센트 ∥ 

에어컨은 전기 소모량이 크기 때문에 전기선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따로 콘센트가 마련되어 있다. 

전용 콘센트를 이용할 수 있는 위치에 제대로 놓였나 확인해 이동한다. 

이동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다른 전기 제품과 전기 콘센트를 같이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콘센트 확인하기 ∥

가구 뒤에 콘센트가 가려진 것은 아닌지, 연장선을 연결해서 이용할 수 있는지 등을 확인한다. 

콘센트 모양만 있고 실제 전기가 흐르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전기 제품을 직접 꽂아 보고 확인한다.


Step 3. 수납된 물건의 위치 확인하기

창고 정리하기 ∥ 

베란다 창고에 들어 있는 물건을 확인한다. 

잘 쓰지 않는 물건은 안쪽에, 자주 쓰는 물건은 앞쪽으로 정리한다. 

한 번 넣어두면 잘 보게 되지 않는 곳이므로 정리할 때 내용물의 내역을 적어 문 안쪽에 붙여둔다.


식기 위치 정리하기 ∥ 

냄비, 프라이팬 등 자주 쓰지만 무거운 것들은 하부장 위칸에 넣는다. 

자주 사용하는 밥그릇, 접시, 국그릇 등은 서서 손을 뻗어 사용할 수 있는 상부장 아래 전면에 넣는다. 

그 외의 제품들은 뒤쪽이나 한 단 위에 수납한다.

 

 



 

Step 4. 집과 살림살이에 생긴 트러블 해결하기


벽에 난 구멍 ∥ 

지점토를 작게 잘라 구멍을 메운 뒤 입자가 가는 샌드페이퍼로 살짝 문지른다.


더러운 벽지 ∥ 

고무지우개나 식빵 조각으로 벽지의 때가 탄 부분을 살살 문지른다. 

기름때는 베이비파우더를 묻힌 퍼프로 두드린 뒤 헝겊으로 파우더만 살살 털어 낸다.


장판 낙서 ∥ 

식용유를 바른 뒤 마른 헝겊으로 문지른다.


가구 흠집 ∥ 

살짝 긁힌 정도라면 가구 색과 비슷한 크레용, 수성용 색연필로 칠한 뒤 페인트를 덧칠한다.

큰 흠집은 나무 메움제를 채운 뒤 사포로 가볍게 문지르고 가구 색과 비슷한 물감으로 칠한다.


가구 때 ∥ 

일반 도장 제품은 깨끗한 천에 가구용 왁스를 묻혀 닦는다. 

하이글로시 제품은 깨끗한 물걸레로 닦은 뒤 융으로 광택을 낸다. 

 멜라닌 표면이나 비닐 마감재는 유리 세정제를 묻힌 걸레로 닦는다.


새는 수도꼭지 ∥ 수도 안의 패킹이 닳았기 때문이다. 

수도 본선 꼭지를 잠근 뒤 상단을 스패너로 떼어 낸다. 

안에 철물점에서 판매하는 패킹을 바꿔 끼우고 다시 조립한다. 


짐을 옮기고 정리했다고 다 된 일일까?

이사 후에 집을 관리하는데 좀더 세심히 신경을 써야 하지 않을까?

이사하면서 벽지가 더러워지거나 가구에 흠집이 나기도 할 것이다. 

이사 후에 집 관리를 위해 챙겨야 할 것들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본다.




Step 5. 내 스타일에 맞게 집 안 바꾸기


전구 바꾸기 ∥ 

백열등이나 할로겐 등은 전기세가 많이 나온다. 

삼파장 형광등으로 바꿔 전기를 아낀다.


손잡이 달기 ∥ 

싱크대나 거실 TV장 등의 손잡이가 떨어져 있는 경우도 많다. 

가구의 소재와 색상, 손잡이 구멍을 뚫는 방식을 고려해 손잡이를 선택해 단다. 

철물점, 인테리어 부자재 숍, 건축 자재 판매처 등에서 구입할 수 있다.


온수 밸브 조절하기 ∥ 

싱크대나 보일러 근처에 있는 온수 공급 밸브를 원하는 정도로 잠가 집의 온도를 조절한다.


변기 물 조절하기 ∥ 

변기의 뚜껑을 연 뒤 벽돌을 넣어 한 번에 내려가는 변기 물을 조절한다.


전선줄 정리하기 ∥ 

전선 여러 개가 얽히기 쉬운 TV 뒤쪽이나 컴퓨터 책상 쪽도 처음부터 정리해야 한다. 

전선마다 어떤 제품용인지 탭을 달고, 탄력 밴드나 헤어밴드 등으로 묶어서 깔끔하게 관리한다.


Step 6. 관리 사무소에서 확인하기

인터폰 기능 확인하기 ∥ 

관리 사무소 연결은 기본, 그 외에 비상시 필요한 기관과의 연결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관리 사무소에서 아파트 구조 확인하기 ∥ 

배수관은 어떻게 되어 있는지, 소방 시설과 대피 경로는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미리 확인해 둔다.


하자 보수 신청하기 ∥ 

새 아파트라면 하자 보수 기간이 있다. 

언제까지, 어떤 항목이 해당되는지 확인해 집을 꼼꼼히 둘러보고 신청한다.



[사진출처: 대구포장이사업체 천사익스프레스 포장이사장면 사진 www.cs24.co.kr ]


 

참고사항으로 포장이사를 준비하신다면, 

포장이사를 사랑하는 사람들 ( 24bee.co.kr )등에서 포장이사비용을 알아보실때 

도움이 되실수 있습니다. 포장이사계획은 이사일로 부터 15일에서 20일전후로  알아보시는 편이 좋습니다. 

손없는날, 말일, 특히 손없는날과 말일이 "금요일" 일 경우  포장이사비용이 매우 높습니다. 

날짜를 변경하시거나, 오히려 보관후에 변경된 날짜로 이사하신편이 경제적일수 있을정도로 이사비용이 높은 날입니다. 






포장이사를 사랑하는 사람들 [이사비 24bee.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