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새집으로 이사을 가게되는 경우 꼼꼼이 살펴보지 않으면 이사후 큰 낭패을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사전후 할일-복잡하고 번거로운 이사 당장 준비해야 할 일이 무엇일까요?

복잡하고 번거로운 이사....

아래 목록을 참조하시고 차근차근 준비하시면 훨씬 편하고 즐거운 이사가 될 것입니다.

 

새집으로 이사을 가게되는 경우 꼼꼼이 살펴보지 않으면 이사후 큰 낭패을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누 수- 벽면과 천정을 둘러봐 물 자국이 있거나 젖은 곳이 있으면 일단 의심. 장판을 걷어

             습기 여부와 장롱이나 구석의 곰팡이가 없는지도 눈여겨 봐야 한다.

             반드시 아래층에 들러 물이 새지 않는지 물어볼 것.

 

수돗물- 집중사용 시간대인 아침과 저녁시간에 집안에 있는 모든 수도꼭지를 한꺼번에 틀어 본다.

              다가구.다세대주택은 계량기가 따로 설치됐는지도 살펴본다.

  

보일러- 설치한 지 몇 년 됐는지, 온수는 잘 나오는지, 방바닥은 따뜻한지, 소음은 어떤지 확인한다.

             연료에 따라 난방비용 차이가 크므로 짚어봐야 한다.

 

하수구- 화장실 바닥의 평평함을 살펴 물빠짐이 좋은지, 싱크대와 변기 등의 배수가 원활한지

              를 체크할 것. 특히 화장실과 싱크대는 고약한 냄새가 나는지 여부를 반드시 살펴야 한다.

  

전등/콘센트- 지은 지 오래된 주택일수록 꼼꼼히 챙겨야 한다. 110V인지 220V인지, 누전은 없는지 살피고.

                    아울러 전화선이나 TV수신 상태도 점검하는게 필요하다.

 

각종 문/창/망- 하자가 많은 곳이다. 현관문의 잠금장치부터 체크한 뒤 방문.창문이 휜 곳은 없는지 

                       방충망은 뚫린 곳이 없는지 살핀다.

                      특히 방한 효과를 고려해 외부 창은 이중인지 틈은 없는지 눈여겨 본다.

 

붙박이용품- 신발장.싱크대.세면대.선반 등은 부착상태와 손잡이가 있는 것은 부실 여부도 봐서

간단하게 수리가능한 지 교체해야 할 정도인지를 가늠해야 한다.  

 

이밖에 계단과 베란다 등의 균열 여부와 주차장의 부실이나 물고임, 단독주택일 경우 지붕의 물받이와

홈통 설치여부, 물탱크 등의 부대 시설물의 사용장애 여부도 살펴 하자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막는게

필요하다.

 


 

하가업체의 준수사항 및 일반적 특징

1.대부분 2.5톤~5톤 이사화물 전문수송탑차(덮개차)를 1~3대이상 보유

2.허가 기준에 따라 이사화물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2명이상의 상용인부를 고용

3.이사화물 취급 운송약관을 신고하여 계약 불이행 등 약관 미준수시 행정관청의 처벌을 받음.

4.500만원 이상의 피해보상이행 보증보험 가입 및 보증금을 예치하여 피해발생 시 사고를 담보

5.관인 계약서 사용 및 작성

6.광고선전물에 허가업체임을 표시.

[출처]전국화물자동차 운송주선사업연합회 -이사화물 안내편

 




댓글